본문 바로가기
TIL (Today I Learned)/GIT

[GIT] 팀 프로젝트를 위한 git 공부. #5

by 둥굴프 2022. 11. 25.
 문서는 '생활코딩' 님의 '지옥에서 온 GIT'을 참고하여 작성됐습니다.

 

지난 #4에서는 원격 저장소와 두 개 이상의 로컬 저장소를 동기화하여 작업하는 방법을 공부했다.

#5에너는 Secure Shell (ssh)을 통해서 원격 저장소에 접근하는 방법을 배운다.

Github는 '서비스형 원격 저장소'이다. 원격 저장소는 '직접' 운영할 수도 있다.

 

 

#1 SSH 키 생성

 

우리는 이전까지 원격 저장소의 HTTPS 주소를 통해서 접근했다.

이 접근 방법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접근할 때마다 로그인을 해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번에 사용할 ssh 통신방법

이 방법은 접근할 때마다 로그인해야할 필요가 없어진다.

 

1. ssh-keygen

- 운영 체제에 상관없이 ssh-keygen 입력 > 암호 저장 폴더 주소 기억할 것 > 과정이 끝날 때 까지 enter

- 작업이 끝나면 우리는 ssh를 통해서 다른 컴퓨터로 접속할 수 있는 암호가 생성된다.

 

2. id_rsa / id_rsa.pub 생성된다.

id_rsa : private key ~ 비밀번호

id_rsa.pub : public key ~ 공개 정보

 

private key는 절대 노출되면 안된다.

publick key를 접속하고자 하는 컴퓨터에 저장해두면 자동 로그인이 가능하다.

 

 

 

#2 public key를 원격 저장소에 저장

 

1. cat id_rsa_pub > key copy > github 접속 > settings > SSH and GPG keys > New SSH key > Key에 복사한 public key 입력 > add ssh key

 

웹을 통해서 서버 컴퓨터인 Github의 원격 저장소에 public key를 저장한 것이다.

public key는 로컬 저장소의 private key와 짝을 이룬다.

 

2. git clone {원격 저장소 SSH 주소} {복제하고자 하는 폴더명}

- git push 명령에 더이상 로그인이 필요없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2.11.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