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8 [CS] 네트워크 기초, HTTP 2 #8 이 문서는 유튜브 '생활코딩'님의 'WEB2 - HTTP' 강의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 https://www3.ntu.edu.sg/home/ehchua/programming/webprogramming/http_basics.html In Introduction to HTTP Basics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Basics Introduction The WEB Internet (or The Web) is a massive distributed client/server information system as depicted in the following diagram. Many applications are running concurrently over the.. 2022. 12. 11. [CS] 네트워크 기초, HTTP #7 이 문서는 유튜브 '널널한 개발자 TV'님의 강의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1 웹 서비스 구조 Web 탄생 배경 Web 탄생 이전 인터넷 상 데이터 = 문자 ~ TEXT파일 티모시 버너스 리 HTML = Text + Link HTTP = HTML + 인터넷 Web = HTML + HTTP 문서를 다루는 모든 프로그램은 Data + 제어 + 인터페이스 3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2 웹 서비스 3대 요소 3대 요소 : 자료구조(데이터) + UI + 제어체계 유지보수 편의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 위 요소를 모듈화한다. Web Client (Browser) - internet - Web Server 초창기 웹서버 HTTP는 TCP/IP 통신을 전제로 했다. HTTP의 중요한 특징 : Stateless 인터넷 .. 2022. 12. 11. [CS] 네트워크 기초, L2 스위치 그리고 TCP 장애 #6 이 문서는 유튜브 '널널한 개발자 TV'님의 강의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1 DNS? 인터넷은 결국 Packet Switching Network 이다. 패킷은 바뀌지 않지만 패킷을 통채로 캡슐화한Frame의 이더넷 헤더는 계속 바뀐다. L2 구간을 통과할 때는 MAC주소가 제일 중요하다. IP주소는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MAC주소는 호스트를 하나 지나서 통과할 때마다 바뀐다. #2 L2 스위치와 ARP 작동원리 ARP 프로토콜 : IP주소로 MAC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 L2 구간 MAC우선 스위치 허브 : 포트마다 MAC을 저장한다. ARP : 1. Braodcast 방식으로 해당 IP주소를 전송한다. 2. 해당 IP주소 호스트에 전송되면 호스트는 Unicast방식으로 MAC주소를 Reply.. 2022. 12. 10. [CS] 네트워크 기초, DNS #5 이 문서는 유튜브 '널널한 개발자 TV'님의 강의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DNS : 분산형 DB구조 ( 계층적 구조 ) Root DNS : 전 세계에 13대 2002.10.22 Root DNS DDoS 공격 사건 도메인 네임? www.naver.com www : Host name naver.com : Domain 인터넷에서는 각각의 Host를 식별하기 위해서 IP주소를 할당한다. IP주소는 외우기 어렵다. 이름을 할당하자 > 도메인 네임 'www.naver.com' 엔터를 하게 된 경우 : 1. PC 자신의 메모리에서 DNS Cache 탐색 2. hosts File을 탐색 3. DNS에 요청 (이 때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공유기가 응답한다.) 공유기가 DNS Forwarding을 제공한다. 4. 공유기가.. 2022. 12. 10. [CS] 네트워크 기초, TCP연결? #4 이 문서는 유튜브 '널널한 개발자 TV'님의 강의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1 TCP/IP 송/수신 원리 Process(Server)가 File(Socket)에 할 수 있는 동작은 기본적으로 Read, Write, X 이다. 소켓통신에 실행 개념은 없다. 소켓통신 Read : Receive (Input) 소켓 통신 Write : Send (Output)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1.4MB의 데이터를 소켓을 통해서 Send해야하는 상황 : 1. Process의 Socket에 일정 메모리를 할당한다. Buffer#1( 속도 지연 발생 7. TCP Buffer의 크기를 Window Size라고 한다. 8. 수신측에서 Segment를 받으면 저장할 수 있는 공간. 9. ACK 데이터에 Window Size를 포함한.. 2022. 12. 10. [CS] 네트워크 기초, Proxy #3 이 문서는 유튜브 '널널한 개발자 TV'님의 강의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1 (Application)Proxy 구조와 작동원리 프록시? 대리자 User mode, Application, Proxy : Socket, Stream Inline, Out of path : Packet 다루는 데이터가 다르다 ( 계층이 다르다 ) #2 Proxy의 활용 1 : 우회 Tor Project : 인터넷에 자유를 프록시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모든 통신을 감청할 수 있다. => 소켓 통신내역을 전부 확인할 수 있다. VPN과 연결된다. (VPN은 네트워크 수준, Proxy는 웹 수준) #3 Proxy의 활용 2 : 분석 소켓 수준에서 SSL을 통해 Stream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이 데이터를 Packet수준에서 분석하.. 2022. 12. 10. [CS] 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 망 #2 이 문서는 유튜브 '널널한 개발자 TV'님의 강의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1 라우팅? 포워딩? 라우팅 알고리즘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전달하는 두 가지 기능은 Forwading과 Routing이다. 포워딩Forwading : Input패킷을 output으로 내보낸다 (H/W) 라우팅Routing : 경로 선택 (S/W) 라우팅이랑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포워딩 테이블을 만드는 작업 포워딩은 포워딩 테이블에 적힌 목적지 주소에 대응된 출력 포트로 패킷을 이동시키는 작업 1. Tradition routing algorithm - 각각의 라우터가 독립적으로 포워딩 테이블을 만들고, 경로를 결정하는 방식 - 링크 상태 알고리즘 : 각각의 라우터들이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링크의 상태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 2022. 12. 10. [CS] 네트워크 기초, TCP/IP 4계층, #1 이 문서는 유튜브 '널널한 개발자 TV'님의 강의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1 OSI 7계층과 DoD 4계층 모델 OSI-7 7계층의 구분 개념적인 모델 H/W 영역 : L1, L2 S/W 영역 (Kernel ) : L3, L4 S/W 영역 (USER, Application) : L5, L6, L7 DoD 4계층 모델 ( TCP/IP 4계층 ) 구분 개념적인 모델 H/W 영역 : Access (Network Interface) S/W 영역 (Kernel ) : Network(Internet) / IP 주소 , Transport / Port 번호 S/W 영역 (USER, Application) : Application / MAC *식별자 4계층 모델의 구현 H/W 영역 : Network Interface.. 2022. 12.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