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ntos2 [pintOS 3] Thierry Snas의 Virtual Memory 개요 https://www.youtube.com/watch?v=HWxMH_SNnNM&ab_channel=ThierrySans 토론토 대학 pintOS강의 Thierry Sans의 토론토 대학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지난 프로젝트2에서는 사용자 가상 메모리는 다음과 같이 배치됐다. USER_STACK +----------------------------------+ | user stack | | | | | | | | V | | grows downward | | | | | | | | | | grows upward | | ^ | | | | | | | +----------------------------------+ | uninitialized data segment (BSS) | +-------------.. 2023. 1. 3. pintOS project 2 team WIL 🔑 1. 모든 함수, 전문용어들은 영어로 표현 (ex: 쓰레드 -> thread, 프로세스 -> process) ( 이유 : 엄밀성을 위해. 프로세스 vs 스레드 구분도 명확히) 2. 단원 제목이 아닌 경우, 모든 영어는 소문자 유지 (ex : Process -> process, PintOS-> pintOS) 1. Passing Arguments Goal 🔍 user program을 적재하고 실행할 때, command line argument가 stack에 쌓여 올바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process_exec() 실행을 위해 command line argument를 ‘parsing’하는 것이 목표 이를 위해서 user program이 load될 수 있는 기반 구조를 작성해야한다. proces.. 2023. 1.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