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유튜브 '생활코딩'님의 'WEB2 - HTTP' 강의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 https://www3.ntu.edu.sg/home/ehchua/programming/webprogramming/http_basics.html
In Introduction to HTTP Basics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Basics Introduction The WEB Internet (or The Web) is a massive distributed client/server information system as depicted in the following diagram. Many applications are running concurrently over the Web, such as web browsi
www3.ntu.edu.sg
웹 브라우저가 하는 역할?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웹 서버에게 대신 물어봐준다.
어떻게? TEXT 정보를 만들어서!
이때의 TEXT 정보가 Request Headers 이다.
Request Headers에 필수적인 두가지 요소가 있다.
1. HTTP 요청 라인 (요청 행) :
GET /1.html HTTP/1.1
method URI version
2. HTTP 요청 헤더 :
Host : localhost:8080
Host : 접속주소(웹 브라우저가 접속한 주소)
웹 서버는 뭐 하는 기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보내주면서 Response Headers를 만들어주는 기계.
Response Headers의 첫 줄에는 필수적으로 응답 라인이 오도록 약속되어있다.
1. HTTP 응답 라인 :
HTTP/1.1 200 OK
version status-code status-message
추가적으로, 브라우저는 응답받은 정보를 화면에 렌더링 해주는 역할을 한다.
1. status
status-code
- Informational responses (100 – 199)
- Successful responses (200 – 299) "성공 - 200 OK"
- Redirection messages (300 – 399) "리다이렉션 - 서버 Application에서 언급"
- Client error responses (400 – 499) "클라이언트 에러 - 404 Not found/ 403 Forbidden"
- Server error responses (500 – 599) "서버 에러 - 500 Internal Server Error"
출처 :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Status#successful_responses
HTTP response status codes - HTTP | MDN
HTTP response status codes indicate whether a specific HTTP request has been successfully completed. Responses are grouped in five classes:
developer.mozilla.org
2. headers
Content-Type : 웹 서버가 응답하는 데이터 타입
참고자료 :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B%94%94%EC%96%B4_%ED%83%80%EC%9E%85
Content-Length : 응답하는 컨텐트의 길이, 단위는 Byte
Content-Encoding : 압축 타입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2.12.11
'TIL (Today I Learned) > 컴퓨터 시스템(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File, 파일 열기/닫기 #2 (1) | 2022.12.13 |
---|---|
[CS] File, 파일이 무엇인가? #1 (0) | 2022.12.13 |
[CS] 네트워크 기초, HTTP #7 (0) | 2022.12.11 |
[CS] 네트워크 기초, L2 스위치 그리고 TCP 장애 #6 (1) | 2022.12.10 |
[CS] 네트워크 기초, DNS #5 (0) | 2022.12.10 |
댓글